바보같이 GitHub에 카카오맵 API Key와 오픈API Key를 노출시키고 있었다.

 

local.properties에서 api key를 저장한 뒤 값을 불러오는 방식으로 소스를 수정하였다.

 

local.properties를 사용하면 gitignore에 자동등록이 되어있어 commit되는 것을 사전에 막아준다.

 

 

Manifest에서 local.properties 사용하기

 

1. local.properties에 키 값을 저장한다

    - 키 값을 지정할 때 큰 따음표("") 를 사용하면 안 된다.

 

 

 

2. Build.gradle(app)에 properties를 선언하고 Load하여 변수에 담는다.

 

 

3. Build.gradle(app)의 android -> defaultConfig 안에 manifestPlaceholders를 사용하여

    AndroidManifest.xml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값을 지정한다.

 

 

4. AndroidManifest.xml에서 사용한다

 

 

 

 

코드 내부에서 사용하기

 

1. local.properties에 키 값을 저장한다

     - 키 값을 지정할 때 큰 따음표 ("") 로 감싼다

 

 

2. Build.gradle(app)에 properties를 선언하고 Load한다.

 

 

3. Build.gradle(app)의 android -> defaultConfig 안에 buildConfigField로 저장한다.

    - buildConfigField를 사용하면 앱을 빌드한 후 BuildConfig에 저장되며 싱글톤으로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.

    - 빌드 한 후 BuildConfig를 살펴보면 OPEN_API_KEY 값이 생성된다.

    - BuildConfig 위치 : java(generated) -> com.**.프로젝트명 -> BuildConfig

 

 

4. 코드 내부에서 사용한다

    - ${BuildConfig.OPEN_API_KEY}"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'개발이슈 & 해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카카오 이미지 검색 api  (0) 2022.01.21

+ Recent posts